양산면민회관 지도 이미지

양산면민회관 19명이 열람하였으며, 0개의 리뷰가 있습니다.

번호
11,127
설치장소명
양산면민회관
설치장소상세
1층
설치시도명
충청북도
설치시군구명
영동군
설치시설구분
서민·복지시설
서비스제공사명
충청북도 영동군
와이파이SSID
Pubilc wi-fi
설치연월
2020-10
소재지도로명주소
충청북도 영동군 양산면 가곡3길 5
소재지지번주소
충청북도 영동군 양산면 가곡리 297-3
관리기관명
충청북도 영동군
관리기관전화번호
043-740-3952
WGS84위도
36
WGS84경도
128
데이터기준일자
2013-10-01

블로그 리뷰

  • 양산면민회관 | 어판장 찍고, 모래해변 걷고… 차로 유람하는 ‘10여개의 섬’

    마을회관 건물을 50년째 되던 해에 리모델링해 만든 소규모 미술관이다. 한적한 어촌마을 한복판에 난데없는 미술관인데, 제법 볼 만한 전시가 이어지고 있다. 지금 하고 있는 전시의 제목은 ‘잊혀지는 섬, 사라지지 않는 기억’이다. 작은 섬 매화도와 폐교된 압해초 매화분교 이야기를 사진과 영상, 탁본 등으로 담은...

    三流人生(2024-07-18 23:02:05)

  • 양산면민회관 | 강원도 아이와 가볼만한곳 평창 대관령양떼목장 체험 9월 날씨

    대관령면민 ​ ➰️ 할인 ➰️ 만 65세 이상 장애등급 1~3급(본인 및 보호자1인) 평창군민,의무복무 중인 군인(장교제외) 30인 이상 단체 주차는 대관령휴게소에 하면되는데 무료고 넓은 편이지만 주말이나 연휴때는 주자하기 조금 힘들 수도 있다. 아이와 함께, 연인과 함께, 가족과 함께 워낙 인기가 많은 평창의 핫플레이스...

    연년생 남매와 연째의 하루(2023-09-14 11:35:00)

  • 양산면민회관 | [영남알프스 9봉] 경남 울주·양산 간월산·신불산·영축산 최단 등산코스, '이게 레알이라고?' 배내...

    운문산 (후기 클릭) ​ 이 두 산을 다녀 온 것이 계기가 되어서 영알 9봉 인증 도전을 서두르게 되었습니다. ​ 물론 3만개 한정으로 제작되는 인증메달도 7월에 마감된다는 소문이… 간월재 그리하여 나머지 7봉을 접수하고자 ​ 2022.07.15.~7.17. 연차휴가를 사용하여 3일간 도전을 했는데요~ 간월재 소문으로 듣고 사진...

    | 마르디안의 하이킹 | 블랙야크 100대명산 완등(2022-07-19 00:16:00)

  • 양산면민회관 | 양산 서리마을 산책길에서 만나는 국사당

    하북면민들이 이를 안타깝게 여겨 1995년 3월 ‘국사당 보존위원회’를 결성하였고, 양산시로부터 지원을 받아 1995년 7월 31일에 국사당을 재건하였습니다. ​ 국사당의 벽면에는 그림이 그려져 있는데요 신선의 세계를 그렸으며 찻잔이 백자인것으로 보아 조선 후기의 그림임을 알 수 있습니다. ​ 국사당 앞에 또 다른...

    양산시 공식 블로그(2023-02-24 09:42:00)

  • 양산면민회관 | 영남알프스 간월산~신불산~영축산 산행

    경남 양산시 하북면, 원동면에 걸쳐있는「취서산」과「신불산」은 영남알프스의 7개 봉우리에 속하는 산으로 광활한 억새밭으로 이름 난 곳이다. 경부고속도로 부산방면 언양인터체인지에서부터 통도사인터체인지 사이에 오른쪽으로 고속도로로 나란히 길게 뻗어 있으며 두 산은 같은 주능선에 가까이 붙어 있어 산행도...

    돌구름(2008-10-19 13:27:00)

  • 양산면민회관 | [낙동정맥 6] 지경고개→취서산→간월산→배내재(00.09.03)

    산행후기 4333년 9월 2일 흙의날 금방울 언니가 발목이 아파서 산행을 할 수가 없다고 한다. 날씨는 기가 막히게 좋은데… 비가 온다는 소식도 없으니 오랜만에...불참. 김경선 이사님께서 지원조로 같이 출발하신다고 한다. 서초구민회관에서 박창서 회장님을 비롯하여 여섯 명의 일행이 버스에 오른다. 호들갑을 떨다...

    조인기의 산과 여행이야기(2009-02-24 10:02:45)

  • 양산면민회관 | 덕개(德浦) 나루로 내려온 신선들이 목욕하며 노닐던 강선대(降仙臺) ① 상강선대(上降仙臺)

    시대 후기에 들어서 중앙집권화와 지방 통치 체제의 정비를 통해서 면리제(面里制)를 제정했고, 동래부는 읍내면(邑內面), 동면(東面), 남촌면(南村面), 동평면(東平面), 사천면(沙川面), 서면(西面), 북면(北面) 등 7개 면으로 나뉘었습니다. 이렇듯 18세기 중엽인 1740년(영조 16)에 동래부사 박사창(朴師昌)이 편찬한...

    박태근의 이야기가 있는 여행(2020-05-10 17:00:00)

일별 방문 통계

월별 방문 통계

날씨

리뷰 (0)

등록된 리뷰가 없습니다.